이진주(Lee Jinju)의 캔버스 위에는 내밀한 개인의 역사가 흩어져 있다. 대상은 섬세하고 정교하지만 도무지 사연을 알 수 없어 비현실적이다. 이면의 이야기를 밝힐 생각이 없는 작가는 유일한 단서로 모든 분절된 화면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진주, 불연속연속
고영진, 하퍼스바자, 31 August 2025
이진주(Lee Jinju)의 캔버스 위에는 내밀한 개인의 역사가 흩어져 있다. 대상은 섬세하고 정교하지만 도무지 사연을 알 수 없어 비현실적이다. 이면의 이야기를 밝힐 생각이 없는 작가는 유일한 단서로 모든 분절된 화면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This website uses cookies
This site uses cookies to help make it more useful to you. Please contact us to find out more about our Cookie Policy.
* denotes required fields
We will process the personal data you have supplied in accordance with our privacy policy (available on request). You can unsubscribe or change your preferences at any time by clicking the link in our em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