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소
1943년 대구에서 태어난 최병소는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으로 신문지를 볼펜과 연필로 지우는 반복적이고 수행적인 작업을 통해 질료의 물성을 바꾸는 작업을 40여년간 지속해왔다. 현대미술계에서 최병소는 대단히 특이한 지점을 차지하고 있다. 미술사적인 측면에서 최병소의 작품은 정신성과 행위성이 뚜렷하게 보이고, 그 시각적 결과물이 단색조의 화면을 가졌다는 점에서 1970년대 한국미술계의 주류경향이었던 한국 모노크롬 회화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 실제로 최병소는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주요 전시인 동경 센트럴 미술관의 <한국 현대미술의 단면전, 1977>과 국립현대미술관의 <에꼴드 서울, 1976-1979>, 그리고 국립현대미술관의 <한국의 단색화, 2012>등에 참여하게 되면서 한국 모노크롬 작가로 구분되어지기로 하였다. 하지만 최병소의 작품을 한국 모노크롬 작가로만 보는 것은 단편적인 구분에 지나지 않는다. 최병소의 작품은 신문지와 볼펜, 연필이라는 일상적인 오브제를 사용하였고, 그가 신문지 작업 이전에 행했던 작업 (철심 여러 개를 바닥에 놓고 하나만 매다는 작업, 전시장 공간에서 고등어를 썩히는 작업, 사진을 텍스트로 읽어나가는 작업 등) 을 미루어 보아 그의 작업은 한국실험미술에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최병소는 1974년 박현기, 이강소 등과 <한국실험작가전>에 참여하였으며, <대구현대미술제>의 주역으로 5년간 활동하였으며, 우리나라 전위미술을 전개한 <35/128> 그룹에 속해있었다. 지난 아라리오갤러리 천안에서 선보인 <Untitled(새)> (1975)의 경우에도 내셔널지오그래픽 잡지에 수록된 새 두 마리가 있는 사진 옆에 sky, cloud, wind, birds, flying, meeting 여섯 단어를 나열해 놓음으로써 사진가 단어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작업으로, 이 역시 한국실험미술의 맥락 안에서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다. 재료적인 측면에서 최병소가 선택한 재료(신문지, 종이, 잡지, 지폐, 비행기티켓, 옷걸이, 화장품 샘플) 등은 작가가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일상적인 오브제이고 연필과 볼펜은 화구가 아닌 필기구이다. 하지만 오브제 자체를 강조하는 다른 작가들의 개념적인 작업들과는 달리 최병소의 작품은 수행과도 같은 반복된 행위를 통해 새로운 물성을 만들어낸다.
-
숲
25 May - 17 July 2021 Seoul -
최병소: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_Works from 1974-2020
26 November 2020 - 27 February 2021 Seoul -
VOICE OF ASIA
1 July - 27 August 2017 Shanghai -
CHOI Byungso
5 March - 26 April 2015 Seoul -
Between the Lines: Korean Contemporary Art Since 1970
1 March - 6 May 2014 Cheonan사이의 경계: 한국현대미술, 1970년대 그 이후 기간 | 2014. 3. 1(토) - 5. 6(화) 장소 |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참여작가ㅣ김구림 윤명로 이우환 류희영 이강소 최병소 김장섭Read more
-
[페어] 아트 바젤 홍콩 2022
17 May 2022아라리오갤러리는 “아트바젤 홍콩 2022 (Art Basel Hong Kong 2022)”에 위성부스에 참가합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위성부스를 통해 현장 방문객을 맞이하는 아라리오갤러리 부스에서는 1960-80년대 한국 현대 실험미술을...Read more -
[페어] 아트부산 2022
4 May 2022아라리오갤러리는 오는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아트부산 2022에 참가합니다. 현재 해외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김순기, 코헤이 나와, 수보드 굽타 등 아라리오갤러리 대표 작가 14명의 작품이...Read more -
[전시] 최병소: 시적 소장품
27 April 2022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전에서 최병소 작가의 작품 2점을 선보이며 현대미술과 '시적인 것'의 관련성을 탐구합니다. 작가 특유의 작업관을 투영하는 두 작품 《무제 9750000-2》, 《무제 9750000-3》은 반예술적 태도, 의미의...Read more -
[Art Fair] Galleries Art Fair 2022
12 March 2022아라리오갤러리는 오는 3월 16일부터 20일까지 화랑미술제 2022에 참가합니다. 이번 페어에서 아라리오갤러리는 부담 없이 컬렉션 할 수 있는 작은 작품부터 아시아 미술사에 주요한 대표 작가들의 작품까지,...Read more -
[작가와의 대화] 최병소
4 December 2021한국 실험미술 정신을 대표하는 최병소 작가의 가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채널에 공개되었습니다. 1970년대 작업부터 신문 시리즈까지, 예술과 반예술 사이에서 한 시대를 증언하는 최병소 작가의 실험적 태도와...Read more -
[전시] 최병소: ( )이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
10 February 2021최병소 선생님의 작품이 현재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 )이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 그룹전에 전시되어있습니다. '최병소는 지속가능한 작업을 진행하고자 고민을 오래도록 이어오며 신문지, 의자, 꽃, 옷걸이...Read more -
[전시] 최병소: KBS 월드 라디오
4 February 2021KBS World Radio 코너에서 앤디 세인트 루이스 기자가 최병소 작가의 개인전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 to 2020>을 소개합니다. 최병소 意味와 無意味...Read more -
[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크리스마스
25 December 2020메리 크리스마스! 최병소 작가의 개인전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 to 2020>은 크리스마스 당일에도 관람 하실 수 있습니다. 아라리오갤러리는 현재 코로나 확산방지를...Read more -
[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전시 관람 사전예약
17 December 202012월 16일 (수) 부터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전시 관람은 예약제로 진행되오니 방문 전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최병소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 to 2020...Read more -
[전시] 최병소: ㄱ의 순간
12 November 2020최병소 선생님이 참여한 <ㄱ의 순간> 한글 특별전을 다음 달까지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신문에 인쇄된 모든 것을 볼펜과 연필로 지우는 게 내 작업의 전부다. 문자와 이미지를...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