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ario Gallery company logo
Arario Gallery
Skip to main content
  • Menu
  • About
  • Artists
  • Exhibitions
  • Fairs
  • Press
  • News
  • Catalogue
  • Art Consulting
  • Contact
  • EN
  • KO
  • 简体
Cart
0 items $
Checkout

Item added to cart

View cart & checkout
Continue shopping
Menu
  • EN
  • KO
  • 简体

최병소: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_Works from 1974-2020

Past exhibition
26 November 2020 - 27 February 2021 Seoul
  • Video
  • Press release
  • Installation Views
  • Works
  • Press
  • News
  • Share
    • Facebook
    • X
    • Pinterest
    • Tumblr
    • Email
Video
Press release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은 최병소의 개인전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 to 2020》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예술세계의 근간을 이루는 1970년대 초기 작품과 최근의 작품을 병치시킴으로써 1970년대 초반 전위적 한국 실험미술의 태동과 단색화의 경향을 관통하고 있는 최병소만의 독특한 미술사적 위치를 재고하고자 한다. 전시의 제목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는 작가의 작품 <무제>(1998)에 사용된 메를로 퐁티의 저서(1948)에서 가져왔다. 최병소는 예술과 사회 전반에 존재하는 주류 체계를 부정하며 그 체계를 해체하는 것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했다. 이와 같은 그의 작업 세계는 이성과 논리 세계의 무의미함을 주장하고 경험과 물리적 경험성의 중시를 주장했던 메를로 퐁티의 세계관과 그 맥이 닿아 있기도 하다.

 

최병소가 대학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활동을 시작했던 1970년대는 5.16 군사 정변과 유신체제에 대한 정치적 좌절감, 그리고 새마을운동으로 인한 경제적 안정과 희망을 동시에 경험했던 시대였다. 젊은 작가들은 일부 개방된 문호를 통해 국제미술의 사회적이고 실험적 미술경향에 대해 접할 수 있었으나 군부독재 하의 상황 속에서 실험적 작업과 전시들은 제재와 억압을 받았다. 국전과 같은 공인된 무대에 설 수 있었던 미술은 추상미술로, 그리고 단색화 사조로 점차 편중되었다. 1970년대 이후 전개되는 모노톤 회화의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성격에 비해 현실에 대한 발언을 직간접적으로 시도했던 실험적 미술 활동들은 당시 정권에 대한 항거로 읽혀지며 탄압을 받았고, 이와 같은 경직된 분위기에서 한국의 실험 미술은 그 활동과 위상이 자연스럽게 축소될 수 밖에 없었다. 최병소는 추상미술의 형식성을 일부 계승하기도 하지만 사회적 불평등과 부조리를 직시해야 한다는 예술가들의 실험적인 정신을 실천하며 단색화와 실험 미술 사이의 경계 사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만들어냈다.

 

1960년대 후반부터 진행되어온 한국 작가들의 실험적 시도의 원동력에는 형식주의 예술에 대한 저항, 내면으로 침잠하던 추상미술에 대한 반발이 있었다. “순수조형에의 의지의 확인과 실험의 장이자, 20세기 전반부 예술의 지지체였던 팽팽하게 고양된 캔버스의 평면성과 그 조건 위에서 추구되었던 일루져니즘의 미학을 부정한다”라는 언급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최병소의 작업의 기저에는 반예술적 태도가 깔려있다. 그는 신문지, 연필, 볼펜은 물론이고 의자, 잡지 사진, 안개꽃 등 우리가 하찮게 여기는 물건들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매체의 순수성, 형식주의 모더니즘과 같은 미술의 위계를 전복시킨다.

 

과거 작가의 대구 작업실이 침수되어 1970-80년대에 제작된 작품 대부분이 유실 또는 파손되었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현재 남아있는 1970년대 사진 작품으로는 유일한 두 작품을 소개한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잡지 사진을 이용해 만들어진 <무제 9750000-1>(1975)과 의자 위에 사물을 놓고 촬영한 사진과 문자를 결합한 <무제 9750000-2>(1975)는 사진의 시각 이미지를 언어로 해석 또는 지시해 놓는 작품이다. 작품 속에서 사진의 이미지는 이를 형용하는 문자와 결합되어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게 되며, 의미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우연적이고 필연적인 어긋남을 의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닐고 있는 두 마리의 새와 그 상황을 설명하는 언어의 결합, 의자에 올려진 사물들과 그 사물을 지시하는 단어들의 결합에서 관람객은 도리어 상황과 현실을 담을 그릇으로 언어가 가진 한계를 경험하게 된다. 1970년대 당시의 작가는 이렇게 시각언어와 문자 언어 간 해석의 차이를 노출시키는 작업을 통해 시각 예술이 언어이자 개념의 영역임을 인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네 점의 사진 작품은 비디오, 필름, 퍼포먼스, 이벤트 등의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인 1975년 《대구현대미술제》에 처음으로 출품되었는데, 작가는 당시 이 사진 세트와 함께 접의자 여러개를 배치한 설치 작품 <무제 9750000-3>(1975)도 함께 전시하였다. 여러 개의 의자들은 나란히, 또는 개별로 배치되었으며 의자가 놓인 바닥은 흰색 테이프로 표시되었다. 또한, 의자가 없는 자리의 바닥에 테이프만 둘러져 있기도 한 곳도 있었다. 작가에 의하면 이 의자 설치는 학교의 교실, 학급의 모습에서 착안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는 질서에 순응한 집단과 그로부터 이탈한 개인에 대한 작가의 고찰을 읽어볼 수 있다. 그는 빈 의자들을 사용해 화자와 청자의 관계, 존재와 부재의 차이를 연출함으로써 사회의 규율 속 사라진 사람들의 모습과 흔적만 남은 개인의 역할에 대해 되묻고 있다.

 

최병소의 대표작으로 잘 알려져 있는 신문 지우기 연작 또한 그가 평생을 매진해온 실험적 정신의 실천이다. 재료비가 거의 들지 않은 일상의 사물을 지지체와 화구로 선택해 탄압의 대상이었던 신문을 까맣게 지우며 사회에 대한 저항의 몸짓을 기록해 나갔다. 오늘날 최병소의 신문 지우기 작업은 자신을 지우는 움직임으로 읽어볼 수 있다. 일상의 물건을 작업에 사용해 한국 사회를 살아가던 최병소 개인과 예술가의 열망을 표현하는 방식은 현장 설치 작품 <무제 016000>(2016)에서도 이어진다. 전시장 바닥을 가득 채운 이 설치 작품은 옷장에 걸려있는 세탁소 철제 옷걸이 한 개를 즉흥적으로 구부려 보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세로 7미터, 가로 4미터를 덮은 8천여개의 가벼운 옷걸이들은 구부러져 백색의 선으로, 그리고 단색의 공간으로 먹먹하게 펼쳐진다. 이 옷걸이들은 신문 지우기 연작의 연필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는 하찮은 물건과 행위 모두 그 시대의 본질을 구성하고 있음을 직시함으로써 예술을 생산해내는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에 이르고 있다. 예술과 반예술, 의미와 무의미 사이의 열린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한 시대를 증언하는 최병소의 실험적 태도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Download Press Release
Installation Views
  • Choi Byungso Untitled 975000 1975 Chair Masking Tape Dimensions Variable

                   

  • Choi Byungso Untitled 1975 Magazine Text 26 X 38 Cm 38 X 54 Cm Framed

                

  • 027

                  

  • Choi Byungso 0201012 Untitled Left 0200815 Right 2020 Newspaper Ballpoint Pen Pencil 57 5 X 73 X 1 Cm Each

                

  • B1 Installation View

                 

Works
  • CHOI Byungso, Untitled 9750000-2, 1975
    CHOI Byungso, Untitled 9750000-2, 1975
  • CHOI Byungso, Untitled 9750000-1, 1975
    CHOI Byungso, Untitled 9750000-1, 1975
  • CHOI Byungso, Untitled, 1975
    CHOI Byungso, Untitled, 1975
  • CHOI Byungso, Untitled, 1974
    CHOI Byungso, Untitled, 1974
  • CHOI Byungso, Untitled 998 무제 998, 1998
    CHOI Byungso, Untitled 998 무제 998, 1998
  • CHOI Byungso, Untitled 0201012, 2020
    CHOI Byungso, Untitled 0201012, 2020
  • CHOI Byungso, Untitled 0200805, 2020
    CHOI Byungso, Untitled 0200805, 2020
  • CHOI Byungso, Untitled 016000, 2016
    CHOI Byungso, Untitled 016000, 2016
  • CHOI Byungso, Untitled 0170712, 2017
    CHOI Byungso, Untitled 0170712, 2017
Press
  • Choi Byungso, Untitled 975000, 1975, black and white photographs, 53 × 38 cm (each)

    프리즈: 최병소

    Andy St. Louis, 프리즈, 22 February 2021
  • Detailed photograph of Untitled, 2019 Paper, ballpoint pen, pencil 160 x 480 x 1 cm (63 x 189 x 0.4 in.) Four pieces Photo by Eazel

    이젤: 최병소

    김상희, 이젤, 17 February 2021
  • CHOI Byungso, Untitled, 2019, Paper, ballpoint pen, pencil, Dimensions variable, 160 x 480 x 1 cm, 4 pieces

    아트인컬처: 최병소

    김종길, 아트인컬처, 1 February 2021
News
  • [전시] 최병소: KBS 월드 라디오

    [전시] 최병소: KBS 월드 라디오

    4 February 2021
    KBS World Radio 코너에서 앤디 세인트 루이스 기자가 최병소 작가의 개인전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 to 2020>을 소개합니다. 최병소 意味와 無意味...
    Read more
  • [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전시 관람 사전예약

    [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전시 관람 사전예약

    17 December 2020
    12월 16일 (수) 부터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전시 관람은 예약제로 진행되오니 방문 전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최병소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 to 2020...
    Read more

Related artist

  • 최병소

    최병소

Back to exhibitions
Manage cookies
Copyright © ARARIO Gallery
Site by Artlogic
info@arariogallery.com
Instagram, opens in a new tab.
Facebook, opens in a new tab.
Youtube, opens in a new tab.

This website uses cookies
This site uses cookies to help make it more useful to you. Please contact us to find out more about our Cookie Policy.

Manage cookies
Accept

Cookie preferences

Check the boxes for the cookie categories you allow our site to use

Cookie options
Required for the website to function and cannot be disabled.
Improve your experience on the website by storing choices you make about how it should function.
Allow us to collect anonymous usage data in order to improve the experience on our website.
Allow us to identify our visitors so that we can offer personalised, targeted marketing.
Save preferences
Close

Join our mailing list

Signup

* denotes required fields

We will process the personal data you have supplied in accordance with our privacy policy (available on request). You can unsubscribe or change your preferences at any time by clicking the link in our em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