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자
Biography
정강자(1942-2017)는 1967년 <청년작가연립전>을 통하여 한국화단에 등단했다. 강력한 군사정권과 이데올로기가 대립했던 1960-1970년대에 '신전(新展)'과 '제4집단'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조형적 실험으로써 사회적 발언을 시도했다. 예술가의 신체와 행위를 이용해 현실정치를 작품의 맥락으로 도입하는 방식은 기성관념을 향한 도전이자 사회체제에 대한 반성의 발로이기도 했다.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작품의 중심에 위치시켜 성별 이데올로기와 성정치의 역학관계를 유희한 작품들을 보여준 것으로 당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정부의 감시와 제재로 1970년의 개인전 <무체전>의 강제철거를 계기로 작품활동을 중단해야만 했고, 이후 가족과 함께 싱가포르로 이주해 10여년간 한국 미술계를 떠나 있었다. 그러나 작가의 사회적 문제의식과 주체정신은 1981년 귀국 후 전념했던 회화에서의 실험으로 이어졌다. 특히, 캔버스를 가득 채우는 원형 회화 연작은 작은 원자에서부터 서서히 팽창하여 지금의 우주를 이루었다는 빅뱅이론에 공감했던 작가의 생각이 녹아있다. 작가 개인에서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나아가 우주적 관심으로 확장되어 가는 과정에 다름 아닌 조형적 실험이라고 볼 수 있다. 갑작스러운 위암 말기 판정에도 작고 직전까지 작업에 전념했다.
Works
-
Untitled, Unknown
-
Untitled, Unknown
-
Untitled 무제, Late 1990s
-
Untitled 무제, Late 1990s
-
Untitled 무제, Late 1990s
-
Untitled, ca. 1977-1980
-
Life II, 2016
-
Text of Semi-Circle, 2016
-
Untitled 무제, 2016
-
Dance of Skeleton, 2015
-
Don't Cry, 2015
-
I Want My Last Trip to the Moon 마지막 여행은 달에 가고 싶다, 2015
-
Invited to My Funeral. 71 Days since My Surgery, 2015
-
The Milky Way and Cancer Surgery, 2015
-
Woman Dancing in Rapid Tempo, 2015
-
Dying Out, 2014
-
Floating in the Forest 숲 속을 부유하는 여인, 2014
-
Limited Life, 2014
-
Mother and Child, 2014
-
Arirang Becoming Constellation, 2013
-
Couple in the Jungle, 2013
-
Dance of the Sun Goddess , 2013
-
Janggu Dance, 2013
-
Buddhist Dance, 2012
-
Dance 12-4, 2012
-
Giwa and Dance, 2012
-
Homage to Pina Bausch, 2012
-
Sahara, 2012
-
Child Playing with Mother, 2011
-
Drawing for Buddhist Dance, 2011
-
The Sahara, 2011
-
Fan Dance, 2010
-
Floating in a Forest 숲 속을 부유하다, 2010
-
Jungle 정글, 2010
-
My First Love, Our Joyful Young Days, 2010
-
Woman Floating in a Forest 숲 속을 부유하는 여인, 2010
-
Hibiscus and Bird Catching Fish, 2009
-
Janggu Dance, 2009
-
Lovers in a Jungle 정글 속의 연인, 2009
-
Lovers in a Jungle 정글 속의 연인, 2009
-
Swimming 수영, 2009
-
Group 군상, 2007
-
Janus in a Jungle 정글 속의 야누스, 2007
-
Mother and Son, 2007
-
Mother and Son on a Pond 연못 위의 모자, 2007
-
Sound of Drums 북소리, 2007
-
Spin Dance, 2007
-
Untitled 무제, 2007
-
Vase with Roses and a Nude, 2007
-
Dance, 2006
-
Limited Life, 2006
-
The Lovers 연인, 2006
-
The Woman 여인, 2006
-
Untitled 무제, 2006
-
Mother and Child 엄마와 아이, 2005-2006
-
Floating in a Forest 숲 속을 부유하다, 2005
-
Hanbok 한복, 2005
-
Mother and Son Floating in a Mystic Forest, 2005
-
The Buddhist Dance, 2005
-
The Face 얼굴, 2005
-
Untitled, 2005
-
Untitled 무제, 2005
-
A Lonely Voyage, 2004
-
Born in a Forest, 2004
-
Hanbok 한복, 2004
-
Image of Hanbok 한복의 이미지, 2004
-
Lady Moon Crowned with a Laurel, 2004
-
Mother and Child, 2004
-
Mother and Child Playing on a Tree, 2004
-
Mother and Children, 2004
-
Mother and Children, 2004
-
Nap in the Forest 숲에서의 오수, 2004
-
The Tears, 2004
-
The Valley 계곡, 2004
-
Untitled, 2004
-
Untitled 무제, 2004
-
Untitled 무제, 2004
-
Untitled 무제, 2004
-
Untitled 무제, 2004
-
정글 속으로 떨어지는 야누스, 2004
-
Fruit Shop in Mexico 멕시코의 과일가게, 2003
-
Hanbok and Floating Janus, 2003
-
Janus Floating in a Forest 야누스 숲 속을 부유하다, 2003
-
Lady Moon Crowned with a Laurel 월계관을 쓴 달님, 2003
-
Mother and Son, 2003
-
Untitled, 2003
-
Untitled 무제, 2003
-
Untitled 무제, 2003
-
Untitled 무제, 2003
-
Untitled 무제, 2003
-
Untitled 무제, 2003
-
월계관을 쓴 여인, 2003
-
Untitled 무제, 2002
-
Kiss Me 키스미, 2001 (1967)
-
Buildings and Hanbok 빌딩과 한복, 2001
-
Hanbok, 2001
-
Title Unknown, 2001
-
Untitled 무제, 2001
-
Untitled 무제, 2000s
-
Untitled 무제, 2000s
-
Untitled 무제, 2000s
-
Untitled 무제, 2000s
-
Untitled 무제, 2000s
-
Untitled 무제, 2000s
-
Limited Life 유한한 인생, 2000
-
Limited Road, 2000
-
Limited Road, 2000
-
Thoughts on Hanbok 한복에 대한 고찰, 2000
-
Untitled 무제, 2000
-
Untitled 무제, 2000
-
Mother and Children 엄마와 아이들, 200
-
From the Earth to the Moon 지구에서 달에로 이동, 1999
-
Untitled 무제, 1999
-
Untitled 무제, 1999
-
Untitled 무제, 1999
-
Untitled 무제, 1999
-
Untitled 무제, 1999
-
Untitled 무제, 1999
-
Hanbok 한복, 1998
-
Limited Road, 1998
-
Monument of Hanbok, 1998
-
Monument of Hanbok 한복의 모뉴먼트, 1998
-
Red Skirt 붉은 치마, 1998
-
Scenery of Hanbok and Nightscene 한복과 밤의 풍경, 1998
-
The Lovers 연인, 1998
-
Untitled 무제, 1998
-
Dancing Trees 춤추는 나무들, 1997
-
Dreaming of a Trip to Mars 화성에 가는 꿈꾸다, 1997
-
Hanbok and Janus, 1997
-
Hanbok in Space 우주 속의 한복, 1997
-
The Bird and a Woman 새와 여인, 1997
-
The Conversation with the Moon 달과의 대화,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Untitled 무제, 1997
-
Woman 여인, 1997
-
아프리카 인상, 1997
-
화성에 가는 꿈을 꾸다, 1997
-
City Women 도시의 여인들, 1996
-
Self-Portrait, 1996
-
The Dreary View 삭막한 풍경, 1996
-
The Father 아버지 , 1996
-
The Universe Through Knitting 뜨개질로 우주를, 1995-1996
-
Desert Landscape 사막의 풍경, 1995
-
Even If the Earth Falls Tomorrow…, 1995
-
India, 1995
-
Rheumatism, 1995
-
Spider 거미, 1995
-
Homecoming, 1994
-
Polynesians in the SouthPacific 남태평양의 폴리네시안, 1994
-
The South Pacific Ocean, 1994
-
Untitled, 1993
-
Untitled, 1993
-
Self-Portrait, 1992
-
Untitled, 1992
-
Picking Flowers, 1991
-
Self Portrait with Dragon, 1991
-
The Dancing Polynesian (Samoa) 춤추는 폴리네시안 (사모아), 1991
-
Woman of "Tonga" with "Tapa Clothes", 1991
-
Flower and Two Women, 1990
-
Landscape with Dragon, 1990
-
Masai Dance at Kilimanjaro, 1990
-
Travel to AFRICA, 1990
-
Baobab Tree on Senegal, 1989
-
Côte d'Ivoire, 1989
-
The Sahara, 1989
-
The Tuareg Tribe Crossing a Desert (Niger), 1989
-
The Women in a Clothes Market (Gambia), 1989
-
Untitled, 1989
-
Wedding Party at Sudan 수단의 결혼파티, 1989
-
인도네시아 풍경, 1989
-
A Journey Far Away, 1988
-
Kilimanjaro and Safari, 1988
-
Ms. Gil's Wedding Party, 1988
-
Night Blooming Flower, 1988
-
The Female Shaman and a Boy, 1988
-
The Maasai and Kilimanjaro, 1988
-
Untitled, 1988
-
Haiti, Dancing People, 1987
-
Haiti, Festival of Fantasy 아이티 환상의 축제, 1987
-
Nude in Spotlight, 1987
-
Rose Festival 장미의 축제, 1986
-
Rebirth, 1985
-
Self-Portrait, 1984
-
Self-Portrait, 1983
-
A Chinese Woman, 1981
-
In Singapore, 1981
-
The Girl and a Cat, 1981
-
The Tree, 1981
-
Consecutive Faces 연속적인 얼굴, 1980
-
Untitled, 1980
-
Untitled 무제, 1980
-
Untitled 무제, 1980
-
Cola Bottles, 1979
-
Mrs. K 미세스 케이, 1979
-
The Room in Singapore 싱가포르의 방, 1979
-
Art Studio, 1977
-
Self-Portrait 자화상, 1975
-
Myeong-Dong, 1973
-
The October Yusin Rebellion, 1973
-
To Repress, 1968
-
Melancholy Self Portrait 우울한 자화상 , 1966
Exhibitions
-
정강자: 나를 다시 부른 것은 원시였다
15 November - 30 December 2023 Seoul -
JUNG Kangja: LIFE GOES ON
3 November 2023 - 6 January 2024 Shanghai -
숲
25 May - 17 July 2021 Seoul -
댄싱퀸
19 May - 11 October 2020 Cheonan -
정강자: 마지막 여행은 달에 가고 싶다
31 January - 6 May 2018 Seoul -
정강자: 마지막 여행은 달에 가고 싶다
31 January - 6 May 2018 Cheonan
Press
-
코리아 헤럴드: 정강자
박유나, 코리아 헤럴드, 2 January 2024 -
문화매거진: 정강자
황명열, 문화매거진, 15 December 2023 -
국민일보: 정강자
손영옥 기자, 국민일보, 5 December 2023 -
이코노믹리뷰: 정강자
김연제, 이코노믹리뷰, 2 December 2023 -
월간인테리어: 정강자
월간인테리어, 1 December 2023 -
YTN: 깃발처럼 펄럭이는 치마...'행위예술 1세대' 정강자 회화 재조명
이교준 기자, YTN, 26 November 2023 -
한국경제: '잊혔던 실험미술 선구자' 정강자, 화가로 다시 보다
성수영 기자, 한국경제, 23 November 2023 -
경향신문: ‘센 여자·야한 여자’도 아닌···‘화가 정강자’의 진면목
이영경 기자, 경향신문, 23 November 2023 -
동아일보: “치마는 억압받는 여인의 깃발”… 1세대 실험미술가 정강자 개인전
김민 기자, 동아일보, 23 November 2023 -
아주경제: 1968년 '한국 최초 누드 퍼포먼스' 정강자, 다시 켜진 스포트라이트
전성민 기자, 아주경제, 22 November 2023 -
매일경제: 실험 미술 대모는 거미 여인으로 살았다
김슬기 기자, 매일경제, 21 November 2023 -
세계일보: 먼 타국에서 찾은 것은… 원시 세상인가 자신의 뿌리인가
박미란, 세계일보, 18 November 2023 -
뉴스1: '나를 다시 부른 것은 원시였다'…韓대표 아방가르드 작가 정강자展
김일창 기자, 뉴스1, 16 November 2023 -
연합뉴스: 정강자
황희경, 연합뉴스, 15 November 2023 -
자유일보: 정강자
임소율, 자유일보, 15 November 2023 -
SayArt: 정강자
Nao Yim, SayArt, 15 November 2023 -
뉴시스: 정강자
Park Hyun Joo, Newsis, 14 November 2023 -
코리아 타임즈: 정강자
The Korea Times, 10 August 2023
News
-
[News] 여자 셋이 모이면 세상을 깬다!
2024년 11월아트인컬처 2024년 11월호Read more -
[News] 예술이 된 여성들의 몸부림…금기를 깨고 위계에 도전하다
2024년 10월 31일송경은, 매일경제Read more -
[News]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의 '여성, 신체, 미술'…'접속하는 몸'展
2024년 9월 3일김일창, 뉴스1Read more -
[News]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서울관, 130점 전시
2024년 9월 2일박현주, 뉴시스Read more -
[News] “일상을 위로하는 미술의 힘” 모란미술관 ‘내 맘의 윤슬’전
2024년 7월 29일김효원, 스포츠서울Read more -
[News] Seoul Art Walk in May
2024년 5월호바앤다이닝, 2024년 5월호Read more -
[News] 조금은 낯선, 회화작품 세계로…대구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2024년 4월 8일류성무, 연합뉴스Read more -
[News] 세계와 만나는 한국 예술
2024년 1/2월호모닝캄 매거진Read more -
[News] 꿈이여 환상이여 도전이여
2024년 2월 15일하은선, 한국일보Read more -
[News] ‘오직 젊음: 한국의 실험미술 1960-1970’
2024년 2월 14일정숙희, 한국일보Read more -
[News] 아방가르드 전시, 'Only the Young,' 한국의 젊은 예술적 반항을 탐구하다
2024년 2월 13일Marina Suh, Daily BruinRead more -
[News] 급진적인 접근: UCLA 해머박물관에 도착한 전시 '한국의 실험미술'
2024년 2월 10일WILL SAYRE & EL SEGUNDO, Spectrum News 1Read more -
[News] 해머뮤지엄, 전시 "Only the Young"으로 한국 미술을 서구에 가져오다
2024년 2월 8일Beverly PressRead more -
[News] 성능경, 김구림…K실험미술, 이번엔 LA로
2024년 2월 5일서지혜, 서울경제Read more -
[News] KF, LA 해머미술관서 60∼70년대 작품 선보이는 한국실험미술전
2024년 1월 12일강성철, 연합뉴스Read more -
[News]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2023년 11월 1일월간미술 11월호Read more -
[News] 옛 것을 새롭게 만들다: 2023 프리즈 마스터즈 전시회
2023년 10월 13일옌우, 메이즈컨설팅Read more -
[News] 프리즈 마스터스 TOP 10
2023년 10월 12일Lee Sharrock, FAD MagazineRead more -
[News] 프리즈 마스터에서 빛을 발하는 여성 예술가들. 한국 아방가르드의 선구자부터 영국의 초현실주의까지 5명 예술가의 재발견
2023년 10월 12일Jo Lawson-Tancred, ArtnetRead more -
[News] 프리즈 2023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2023년 10월 11일Emily Steer, BAZAARRead more -
[News] 올 가을 여성 예술가 전시의 분열과 '진정한 연결'
2023년 10월 9일Louisa Elderton, 프리즈 매거진Read more -
[News] 이숙경 디렉터가 선택한 2023 프리즈 런던과 마스터즈 뷰잉룸 작품들
2023년 10월 9일FRIEZERead more -
[News] 정강자의 예술적 유산을 축하하며: 표현주의 페미니스트의 선구자
2023년 10월 7일BlueYIM, SayArtRead more -
정강자 부활…아라리오갤러리, 英 '프리즈 마스터즈 2023' 참가
2023년 9월 22일박현주, 뉴시스Read more -
뉴욕 진출한 '한국 실험미술'…"몰랐는데 신선" 호평
19 September 2023박현주 기자, 뉴시스Read more -
아라리오갤러리, 국제아트페어 프리즈 서울·키아프 서울 2023 동시 참가
17 August 2023김정모 기자, 세계일보Read more -
한국실험미술 1960-70년대
26 May 2023정강자의 <키스미> (1967) 설치 작품과 당시 퍼포먼스를 소개하는 사진 아카이브와 영상, 그리고 최병소의 비디오 <무제 9870000> (1978) 작품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리는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전에서 소개됩니다....Read more -
[ 페어 ] ART SG 2023
3 January 2023아라리오갤러리가 “ART SG 2023”에 참가합니다. 아라리오갤러리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바탕 삼아 작업하는 아시아 작가 12명과 함께 싱가포르 현장 방문객을 맞이할 예정입니다. 참여작가 안지산 레슬리...Read more -
[전시] 정강자: 시적 소장품
30 April 2022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전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정강자 작가의 회화 작품 《자화상》을 소개합니다. “우리는 젊었고, 문화 정의를 위해서라면 그 어떤 것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 정강자...Read more -
[페어] 키아프 2021
8 October 2021아라리오갤러리는 2021년 10월 13일부터 10월 17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아트페어 키아프(KIAF Seoul 2021)에 참가합니다. 아라리오갤러리 부스에서는 회화, 조각, 사진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이 출품되며 1970년대 아방가르드...Read more -
[도서] 정강자: 여자의 미술관
1 February 2021근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국내외 15명의 여성 예술가들을 통해 수천 년간 하나의 내러티브로 치우친 미술사의 재정의를 시도한 도서 『여자의 미술관』(정하윤 지음)이 출간되었습니다. 그 중 15장 <억압받고...Read more -
[이벤트] 아라리오갤러리 천안: 세계 여성의 날
8 March 2018아라리오갤러리는 모든 여성을 응원합니다! 여성의 날 (3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