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럴딘 하비에르
제럴딘 하비에르(b. 1970)는 필리핀 사회가 직면한 역사 및 사회정치적 현실의 맥락을 포착하여 그만의 시각 언어로 풀어낸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몰두했던 이전 세대 필리핀 작가들과 달리, 폭넓고 다채로운 관심사에 기반하여 독자적인 표현 양식을 구축해냈다. 신화와 자연, 죽음 및 유년기의 서사를 품은 도상이 화면에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지난 2013년 바탕가스라는 이름의 교외 지역으로 거처를 옮긴 이후, 작가는 자연과 환경에 대해 더욱 깊은 관심을 갖게 됐다. 2020년 1월 갈라파고스 제도의 페르난디나 섬에 위치한 라 쿠움브레 화산과 그로부터 1만 6천 킬로미터 떨어진 적도 부근 필리핀의 탈 화산이 분화했다. 화산재가 세상을 뒤덮고 격렬한 폭발은 연기 기둥을 하늘 높이 밀어 올렸다. 화산 인근 바탕가스 주 쿠엥카에 작업실과 거주지를 둔 작가 제럴딘 하비에르는 번개와 폭풍이 밤하늘을 장악하는 성서적 장면을 직접 목격했다. 분화가 잦아들자 재에 묻힌 동물들과 불탄 나무들의 폐허는 마치 검은 숯으로 그린 그림과 같았다. 재건을 시도하는 사이 팬데믹이 시작되었다. 당해 3월 17일, 바탕가스 주를 비롯한 필리핀 전역은 봉쇄에 들어갔다. 앞선 시기 판화 공방 및 자수 장인들과 협업하며 조형 언어를 실험하던 하비에르는 팬데믹 이후의 단절된 세상 속에서 고독한 화가의 태도로 되돌아 왔다. 하비에르는 회화의 화면으로부터 자연의 토양과 은하를 상상한다. 나아가 나무의 뿌리와 생명의 신경망, 행성들의 신비로운 연결성이 지닌 순환의 원리를 회화의 언어로 표현한다. 화산 폭발은 파괴적이지만, 동시에 토양에 비옥한 광물을 공급해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하비에르에게 있어 창작이란 그러한 회복과 애도의 과정이다.
하비에르는 1970년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마카티에서 태어났다. 1991년 필리핀대학교 간호학부를 졸업했고 1997년 동 대학에서 회화 전공 학사학위를 받았다. 《헬싱키 비엔날레 2025》(2025), 《제35회 상파울루 비엔날레》(2023), 《제13회 하바나 비엔날레》(2019), 《제4회 프라하 비엔날레》(2009) 등 국제 비엔날레에 참가하였으며, 아트인포멀(필리핀, 2024; 2021), 실버렌스 갤러리스(필리핀, 2023; 2013), 미주마 갤러리(싱가포르, 2022),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중국, 2018), PSP(필리핀, 2017), 피날레 아트 파일(필리핀, 2015; 2011; 2008; 2007), 아라리오갤러리 서울(한국, 2013; 2011), 아른트 갤러리(독일, 2013), 길만 버락 내 이퀘이터 프로젝트 갤러리(싱가포르, 2012), 발렌타인 윌리 파인아트 (싱가포르, 2011; 말레이시아, 2006), STPI (싱가포르, 2011) 등에서 개인전을 선보였다. 경남도립미술관(한국, 2025), 오스카 니마이어 뮤지엄,(브라질, 2024), 팔라치오 다스 아르테스(브라질, 2024), KF 아세안문화원(한국, 2024), 아라리오갤러리 천안(한국, 2020; 2010),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중국, 2017; 2016), 아트 갤러리 오브 뉴 사우스 웨일스(호주, 2017), 오먼드 콜렉티브(호주, 2012)등이 개최한 단체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2003년 필리핀문화원(CCP)이 선정한 ‘13인의 작가’ 중 하나로 호명되어 주목 받았다. 필리핀문화예술위원회(NCCA, 필리핀), 필리핀중앙은행(BSP, 필리핀), 라스 카사스 필리피나스 데 아쿠자르(필리핀), 싱가포르미술관(싱가포르), 경남도립미술관(한국), 아라리오뮤지엄(한국) 등이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
Jarman, 2017
-
Jekyll, 2017
-
Oblivious to Oblivion 무의식적 망각, 2017
-
The Mountain, the Studio and the Telly, 2017
-
Art Spy Agent Van, 2014
-
Limbo, 2013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9 Creatures in Search or Their Species (Pelvis Somnium Reduviidae A), 2012
-
An Act of Mercy, 2012
-
And Unforeseen Dangers and Fears, 2012
-
Fight 1, 2012
-
Fight 2, 2012
-
Fight 3, 2012
-
In the Darkness of the Forest Live Mysterious Creatures, 2012
-
Something Destroyed, Something Lost, Something Gained, 2012
-
The Sound of Things Approaching: Before the Fight, 2012
-
댄싱퀸
19 May - 11 October 2020 Cheonan -
제랄딘 하비에르: Fearing, Doubting, Wondering, Hoping, Dreaming
19 January - 11 March 2018 Shanghai -
아시아의 목소리
1 July - 27 August 2017 Shanghai -
Between the Street and the Mountain: Four Artists from the Philippines
26 July - 2 September 2016 Shanghai -
Geraldine JAVIER: Beyond the Veil
7 June - 14 July 2013 Seoul기간 | 2013. 6. 7(금) - 7. 14(일) 장소 |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작품 | 회화, 조각, 설치, 사진 13점 오프닝 리셉션 | 6월 7일(금), 오후 6시,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Read more -
Artists with Arario 2011: Part 1
20 September - 6 November 2011 Seoul -
Geraldine JAVIER: In the Beginning...
17 May - 12 June 2011 Seoul -
Beacons of Archipelago
9 December 2010 - 13 February 2011 Cheonan1989년 설립되어 동시대 예술의 주요흐름을 짚어내는 전시들을 기획해온 아라리오 갤러리가 오는 12월 9일 동남아시아 작가들의 대규모 단체전인 ‘군도의 불빛들 (Beacons of Archipelago)’을 서울과 천안에서 동시에 개최한다. 동남아시아의 현대미술은 아시아 미술의...Read more -
Beacons of Archipelago: Contemporary Art from Southeast Asia
9 December 2010 - 16 January 2011 SeoulPeriod | 09 December, 2010 – 16 January, 2011 Venue | Arario Gallery Seoul samcheong Works | 8 pieces including installation, sculpture and painting Opening Reception | 5pm Thursday, 09...Read more
-
경남도립미술관 기획전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전
2025년 3월 17일백지영, 경남일보Read more -
다름, 다르게 살아온 우리… 닮음, 다를 게 없는 우리 삶
2025년 3월 17일Eo Taehee, Kyungnam NewsRead more -
[News] 밈(MEME): 단순화한 얼굴
2024년 7/8월 호The Brooklyn Rail, Tony GodfreyRead more -
[News] 아트자카르타 2023에서 반드시 보아야 할 부스
2023년 11월 16일Zoe Leung, HypeArtRead more -
아라리오갤러리, 국제아트페어 프리즈 서울·키아프 서울 2023 동시 참가
17 August 2023김정모 기자, 세계일보Read more